소비쿠폰 받는 링크 “누르는 순간 100% 당합니다”… 지원금 받으려던 고령층 피싱 사기 ‘속수무책’

문자로 받은 소비쿠폰 링크
클릭 순간 악성앱 설치 시작
고령층 대상 피해 확산 우려
소비쿠폰
소비쿠폰 링크 사기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정부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되면서 이를 악용한 피싱 사기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최근에는 관련 링크를 클릭한 뒤 휴대폰이 해킹되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온라인 보안에 취약한 고령층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링크를 눌렀을 뿐인데 휴대전화에 악성 앱이 설치되고, 모르는 결제가 발생하거나 금융정보가 빠져나가는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소비쿠폰 링크 클릭 순간, 피해 시작

소비쿠폰
소비쿠폰 링크 사기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에 사는 김모(75) 씨는 며칠 전 ‘소비쿠폰 신청 마감’이라는 문자를 받고 링크를 눌렀다. 이후 휴대폰이 느려지고, 본인이 가입한 적 없는 유료 서비스 결제 알림이 떴다. 확인해보니 악성 앱이 설치돼 있었다.

보안 기업 서프샤크는 23일 “정부에서 발송하는 소비쿠폰 관련 메시지에는 URL이 포함되지 않는다”며 “문자나 SNS로 온 링크는 모두 사기로 간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자 링크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악성앱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해커가 휴대폰을 조작하거나 개인정보를 빼내는 일이 발생한다. 이름,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뿐 아니라 비밀번호까지 입력하게 만들기도 한다.

정부·공공기관 사칭 메시지 증가

소비쿠폰
소비쿠폰 링크 사기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대전경찰청은 23일 “소비쿠폰 지급을 악용한 보이스피싱과 피싱 사이트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정부24나 카드사, 지역화폐 앱을 사칭한 문자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신청 오류’ 또는 ‘지원금 안내’ 등의 문구로 접근하며,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거나 원격 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기도 한다.

심지어 포털사이트 검색 결과에 피싱 사이트가 상단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피해자들이 자연스럽게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게 만드는 사례도 확인됐다.

고령층·취약계층 집중 공격… 대처법은?

소비쿠폰
소비쿠폰 링크 사기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문제는 이러한 수법에 고령층이 특히 취약하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은 메시지의 진위 여부를 구분하지 못하고, 정부나 은행의 안내로 착각하기 쉽다.

보안 전문가들은 정부나 은행, 카드사가 문자로 링크를 보낼 일이 없다고 설명한다. 서프샤크는 “전화나 문자, 이메일을 통해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모두 사기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문자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했거나 악성 앱 감염이 의심될 경우, 모바일 백신 앱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감염이 확인되면 앱을 삭제해야 한다. 심각한 경우에는 휴대폰 초기화가 필요하다.

또한 금융 피해가 발생했다면 즉시 은행과 보이스피싱 대응센터에 연락해 계좌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경찰은 “정부나 카드사, 은행이 발송하는 공식 메시지에는 절대로 URL 링크가 포함되지 않는다”며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다면 다른 기기로 112에 신고하거나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해달라”고 당부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Mercedes Benz Self-Driving Level3

시속 95km인데도 “당당하게 휴대폰 사용”…벤츠 자율주행, 직접 확인해 보니

더보기
Dacia Duster Hybrid Unveils

유지비 걱정은 끝 “한 번에 1500km 달린다”…새롭게 등장한 하이브리드 SUV

더보기
Porsche AI Simulation Test

“극한의 환경에서 차량 한계까지 시험”…연내 공개 예정인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더보기
Volvo ES90 Coming Soon

“한 번에 647km 주행 가능한 볼보 ES90″…디자인부터 성능·출시 일정까지

더보기
Bugatti Brouillard Revealed

“부가티 신형 W16 하이퍼카 브루야르”…성능·품질·디자인까지 절대 타협 없어

더보기
Hyundai Kia Chuseok FreeInspection

“추석 연휴 장거리 운행 전 필수”…현대차·기아, 추석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