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칭 사기에 노후자금 전부 날려
50대 이상, 가상자산 투자 사기 집중 타깃
허위 보상금과 가짜 코인으로 접근

가상자산 투자 사기가 50대 이상 중장년층 및 고령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최근 범죄 수법은 정부기관이나 금융회사를 사칭해 ‘과거 투자 손실 보상’이나 ‘개인정보 유출 피해 환급’을 미끼로 접근하는 형태가 많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상반기 관련 제보 건수가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정부기관 명의까지 도용한 ‘보상금’ 사기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월 66건이던 가상자산 투자 사기 제보 건수는 6월 105건으로 59.1% 증가했다.
범인들은 피해자에게 가짜 정부 문서와 금융사 명함을 제시하며 신뢰를 쌓는다.
보상금 명목으로 고수익이 보장된 가짜 코인을 지급한다고 속인 뒤, “예정보다 많이 지급됐다”며 차액 입금을 요구하거나 추가 대출을 받아 투자금을 마련하게 한다.
피해자 A씨는 지난 6월, 증권사 직원을 사칭한 남성으로부터 로또 예측 사이트 가입비 환불 전화를 받았다.
상대는 정부기관 문서까지 제시했고, 가상자산 지갑 가입을 권했다. 지갑 화면에는 실제처럼 보이는 코인이 입금된 것처럼 표시됐다.
이를 믿은 A씨는 총 1억 2400만원을 송금했지만, 출금 요청을 하자 연락이 끊겼다.
‘원금 보장’·‘고수익’ 약속… 피해자 울리는 달콤한 유혹

가상자산 투자 사기의 대표적인 유형은 △원금 및 고수익 보장 △허위 코인 지급 △가짜 거래소·지갑 사이트 유도 △출금 지연 등이다.
사기범들은 유명 투자자나 증권사·정부기관 직원을 사칭하고, “상장 임박”, “1000% 수익” 등 근거 없는 정보를 흘리며 투자 심리를 자극한다. 허위 보유내역이나 조작된 수익 그래프를 제시해 피해자의 의심을 줄인다.
일부는 가짜 거래소에서 입금 화면을 조작하고, ‘락업 기간’ 등을 이유로 출금을 지연시키며 시간을 번다.
금감원 관계자는 “과거 손실이 보전됐다고 믿게 되면 피해자들은 비상식적인 요구도 따르게 된다”며 “‘투자 손실을 보상하겠다’는 문구는 사기범들이 자주 쓰는 멘트”라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 원금 보장과 고수익을 내세워 1400명 이상에게서 328억 원을 가로챈 조직을 적발했는데, 피해자의 90% 이상이 신종 범죄에 취약한 50대 이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피해 막으려면 철저한 검증 필요

전문가들은 투자 전 금융정보분석원 등 공식기관에서 사업자 등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부 문서나 금융사 명함을 받더라도 직접 기관에 연락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출처 불명의 링크·앱은 열지 말고, 지갑 비밀번호·시드문구·개인키 등은 절대 타인에게 제공해서는 안 된다.
피해가 의심되면 송금 내역·대화 기록·사기 의심 URL·앱 등 증거를 확보해 경찰청 사이버안전국과 금융감독원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가족·지인과 투자 결정을 사전에 공유하는 것도 피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금감원은 하반기 중 디지털자산 거래소협의체와 공동 홍보를 진행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시설을 활용한 ‘가상자산 투자사기 피해 예방 캠페인’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