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코리아 임단협 잠정 합의
기본급 만 10만 원 넘게 인상
25일 사원총회에서 최종 결정
한때 평행선을 달리던 노사 협상이 마침내 진전을 보였다. 르노코리아 노사가 2025년 임금 협상 9차 본교섭에서 극적인 잠정 합의를 이끌어낸 것이다.
협상 결과는 기본급 인상과 함께, 격려금 150%, 타결 일시금 250만 원까지, 회사의 구조조정 우려와 불안정한 생산 전망 속에서 이어졌던 협상은 노사 모두의 양보 끝에 실마리를 찾았다.
잠정 합의 핵심은 ‘3대 보상’
르노코리아는 지난 23일, 대표 노조와의 본교섭 이후 해당 합의안을 도출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번 결과는 오는 25일 조합원 총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잠정 합의안에 따르면, 노사는 우선 올해 기본급을 10만3500원 올리는 데 뜻을 모았다. 여기에 생산성과 연동되는 격려금 150%도 포함됐다.
또한 협상 타결에 따른 일시금 250만 원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사측은 “현장 근로자들의 노고에 대한 보상과, 생산 안정화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2026년 대비한 선행 위원회 구성도 약속
이번 합의에서 주목할 부분은 단순한 임금 인상에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임금협상 타결 후 1개월 이내에 ‘2026년 단체협약을 위한 선행적 노사공동 인사제도 개선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이 위원회는 노사 각 10명씩 총 20명으로 구성된다. 주요 논의 안건은 임금 피크제, 통상임금 등을 포함한 임금 구조 개선과 근무 환경 개선 등으로 내년 협상을 미리 준비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특히 임금 구조 개선 논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노사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단순한 임금 인상보다는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임금 제도를 만들어가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근무 환경 개선 역시 현장 근로자들이 오랫동안 요구해온 사안이다. 임금도 중요하지만 일하는 환경이 개선돼야 진정한 근로자 만족을 이룰 수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5일 사원총회가 마지막 관문
하지만 아직 끝난 것은 아니다. 이번 잠정 합의안은 말 그대로 ‘잠정’이다. 조합원 설명회를 거쳐 오는 25일 사원총회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사원총회에서 조합원들의 찬성을 받아야 비로소 정식 합의가 된다. 그동안 9차례나 교섭을 진행했던 만큼 이번에는 무리 없이 통과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마지막까지 예단하기는 어렵다.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노사 모두 상당한 양보와 타협을 통해 이뤄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노동조합 측도 “조합원들의 요구를 상당 부분 반영한 합의안”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번 르노코리아의 합의가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임금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기본급 인상폭과 성과급 비율 등이 업계 전반의 참고 기준이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