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들고 갔다가 되레 발길 돌린다
같은 브랜드인데도 ‘된다·안 된다’ 달라
사용처 복잡… 출발 전 확인이 필수

최근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 시작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사용처에 대한 혼선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1일부터 지급을 시작한 소비쿠폰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매출을 늘리기 위해 마련됐다. 하지만 쿠폰을 쓸 수 있는 곳이 한정돼 있어, 사용 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소비쿠폰, 같은 가게여도 다르다?

소비쿠폰 사용은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가맹점으로 제한된다. 같은 브랜드라도 매장 운영 형태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편의점은 대부분 가맹점 형태지만, 일부 직영점에서는 쿠폰 사용이 불가능하다. 다이소도 전체 1500여 개 매장 가운데 약 30%가 가맹점으로, 이들 매장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프랜차이즈도 마찬가지인데, BBQ, 교촌치킨, bhc 등은 가맹점에서만 쿠폰 사용이 가능하다.
커피전문점 역시 엔제리너스, 투썸플레이스, 메가커피 등은 일부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전 지점이 직영인 스타벅스는 쿠폰 사용이 불가능하다.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등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도 가맹 여부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가 갈린다. 더본코리아의 빽다방, 새마을식당 등도 해당 브랜드 가맹점에서만 쿠폰이 적용된다.
편의점·다이소 등 확인 후 방문해야

정부는 편의점, 다이소 등 주요 업종에 대해 가맹점과 직영점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매장 입구에 스티커 부착을 요청했다.
올리브영도 전체 매장의 15%에 해당하는 가맹점 중 연매출 30억 원 이하 매장만 쿠폰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가능 여부를 홈페이지 및 지도앱에 표시하고 있다.
다이소의 경우 직영점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가맹점 입구에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가 부착돼 있다.
이마트 및 트레이더스에 입점한 일부 임대 매장도 사용이 가능하다. 안경점, 사진관, 약국, 미용실 등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해당된다.
배달앱도 사용 가능하지만 ‘조건’ 있다

배달앱에서도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지만 조건이 제한적이다. 배달의민족 앱에서 ‘가게배달’ 방식으로 주문하고, 배달원을 만나 직접 카드 단말기로 결제하는 ‘만나서 결제’ 방식이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앱 내 자동 결제, 키오스크, 테이블오더 등 PG사를 통한 간접 결제 방식은 매출로 인식되지 않아 사용이 제한된다.
택시도 개인택시는 사용 가능하지만, 법인택시는 지역과 매출 기준을 충족해야만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카카오T 같은 앱 호출 서비스 이용 시 개인·법인 구분이 어려워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하기 전 반드시 확인 필수

소비쿠폰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다. 카드사 앱, 간편결제 플랫폼, 주민센터 등 다양한 경로가 열려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나 장애인을 위한 ‘찾아가는 신청’도 운영된다.
하지만 실질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사전에 사용 가능 매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같은 브랜드라도 매장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출발 전 확인이 중요하다.
정부는 사용처 확대보다 구체적인 구분을 통해 소비자의 혼란을 줄이겠다는 입장이다. 소비자는 안내 스티커, 홈페이지, 지도 앱 등을 통해 정보를 확인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매장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국 정치행정이란 그넘이그넘 싹다바꿔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