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조 지키고 싶으면 830조 바치라고?”… ‘악마의 선택지’ 받아든 삼성·SK ‘아수라장’

반도체 수출길 막히나
고율 관세에 투자 압박
국내 산업 전방위 충격 우려
삼성
반도체 100% 관세 부과 가능성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으로 수출되는 반도체가 연간 약 15조 원 규모에 이르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한국 반도체 업계 전반이 큰 부담을 떠안게 됐다.

미국 시장을 지키려면 미국 내 생산시설을 확보하라는 압박이 동반되고 있어, 기업들은 생산기지 이전이나 대규모 투자를 강요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100% 관세’와 ‘현지 공장 설립’은 단순한 경제적 이슈를 넘어 산업 전략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100% 관세 피하려면 공장 지어라”

삼성
반도체 100% 관세 부과 가능성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투자 발표 행사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반도체에 대해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 내에 공장을 설립한 기업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겠다고 덧붙였다.

정확한 적용 시점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CNBC 인터뷰에서 “다음 주쯤 관련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어 조만간 정책이 구체화될 가능성이 있다.

수출보다 더 큰 위협은 ‘불확실성’

삼성
반도체 100% 관세 부과 가능성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약 106억 달러(14조 7천억 원)로,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출 품목이다.

전체 반도체 수출에서 미국 비중은 약 7%지만, 미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납품 의존도가 높은 만큼 간접적인 영향도 클 수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고율의 관세가 실제로 적용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해 소재·장비 공급망 전반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낮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발언에서도 구체적인 관세 시행 시점을 언급하지 않았으며, 이런 불확실성 자체가 업계에 혼란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생산 이전하라? 기업엔 부담 커져

삼성
반도체 100% 관세 부과 가능성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애플이 향후 4년간 미국에 6000억 달러(약 830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소개하며, 이를 미국 내 공장 설립의 모범사례로 강조했다.

해외 기업에도 같은 수준의 현지화를 사실상 요구한 셈이다.

하지만 한국 기업 입장에선 미국 내 생산기지 설립은 쉬운 선택이 아니다. 천문학적인 투자비와 고정비 부담, 인력 확보 문제 등 다양한 현실적 제약이 따른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단순히 공장을 짓는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며 “기술, 생산효율, 물류 등 전반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악순환의 시작…기술 격차도 흔들릴 우려

삼성
반도체 100% 관세 부과 가능성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고율 관세는 단기적인 수익성 악화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술 투자 여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반도체 보조금 및 대출 지원 삭감 의지도 밝힌 바 있다.

또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미국 내 IT제품 전반의 수요 위축으로 반도체 수출 자체가 줄어들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중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되는 한국 반도체 역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실현될 경우, 한국 반도체 산업 전반에 구조적인 부담이 될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외교적 대응과 기업의 공급망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업계, 다각적 대응 필요

삼성
반도체 100% 관세 부과 가능성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현재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반도체 및 의약품 분야에 대해 최혜국 대우를 받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관세 정책이 확정되기 전까지 긴장의 끈을 놓기 어렵다.

삼성과 SK하이닉스를 비롯한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내 공장 투자 확대 여부를 놓고 내부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발표되는 미국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한국 반도체 산업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글

Benz Announces 40 New Models

“3조 넘게 쏟아부은 메르세데스-벤츠”…향후 3년 내 최대 40종 이상 신차 나온다

더보기
Toyota Frontlander Revealed

“토요타 프론트랜더 공개”…폭발적인 가격 상승에도 여전히 2천만 원대

더보기
Polestar OTA Update Notice

폴스타 확 바뀐다 “이건 스마트폰을 빼다 박은 수준”…무슨 일인가 봤더니

더보기
BYD Sealion7 Explosive Popularity

“EV5 사려던 사람들 다 넘어갔나?”…BYD 씨라이언7, 예상치 못한 인기에 화들짝

더보기
Lexus LS Heritage Edition Revealed

“36년 역사의 정점 담은 렉서스 LS 헤리티지 에디션”…디자인·스펙·가격까지 살펴보니

더보기
BMW to carry out massive recall

“실내 주차하지 마세요”…갑작스러운 리콜에 33만 BMW 차주들 ‘날벼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