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볼트 EV 티저 공개
2023년 단종 후 재개발
NACS 포트로 호환성 확대

한때 ‘가성비 전기차’로 불리며 국내외에서 인기몰이를 했던 쉐보레 볼트 EV가 부활을 예고했다.
2023년 생산 중단 이후 자취를 감췄던 이 모델은 올해 말 신형으로 돌아올 예정으로 새롭게 공개된 티저 이미지에는 과거 모델과는 다른 디자인과 기술력이 담겼다.
특히 이번 신형은 테슬라의 슈퍼차저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까지 갖춰져, 전기차 시장에 또 다른 반전을 예고하고 있다.
꾸준한 수요 확인 후 재개발 결정

쉐보레가 이번에 공개한 신형 볼트 EV는 완전 변경 모델이 아닌 기존 볼트 EUV를 기반으로 한 부분 변경 모델이다.
기존 볼트 EV가 소형 해치백이라면, 볼트 EUV는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인 크로스오버 모델로 출시됐었다. 신형 볼트 EV는 이 EUV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새롭게 설계된 외관 디자인과 첨단 기능이 눈에 띈다.
전면부는 날렵한 주간주행등과 분할형 헤드램프가 적용돼 세련된 인상을 주며, 쉐보레의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여기에 하단 범퍼에는 메시 타입의 공기흡입구가 배치돼 차체가 더욱 넓어 보이는 효과를 준다.

또한 후면부 테일램프는 매끈한 디테일이 강조됐는데 미등이 전통적인 형태로 바뀌면서 유리창과 분리된 디자인을 채택했다. 더불어 블랙 보타이 엠블럼과 새롭게 디자인된 휠 등도 제공된다.
테슬라 슈퍼차저도 OK

무엇보다 눈에 띄는 변화는 충전 시스템으로 신형 볼트 EV에는 북미 충전 표준 포트인 NACS 충전 포트가 새롭게 탑재됐다.
이 포트는 테슬라의 슈퍼차저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규격으로, 테슬라 차량만 이용할 수 있었던 고속 충전 인프라가 이제 쉐보레 차량에도 열리게 된 것이다.
이는 쉐보레가 전기차 사용자들의 충전 편의성을 고려해 내린 결정으로 풀이된다. 기존 볼트 EV는 합리적인 가격과 실용성으로 주목받았지만, 충전 인프라 측면에서는 아쉬움을 남겼다는 평가가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신형 볼트 EV에는 가격 경쟁력을 고려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가 탑재되며, 여기에 신규 전기모터가 함께 적용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이전보다 더 강력한 주행 성능과 효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국내 출시 여부는?

한편 볼트 EV는 국내에서도 꾸준한 인기를 끈 모델로 전기차 대중화의 기폭제 역할을 해왔지만, 단종 이후 전기차 시장의 중심에서 멀어졌었다.
이번 부활이 국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전기차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다시 한번 주목받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가격은 기존 모델의 약 4천만 원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말 공식 공개를 앞두고 있다. 다만 국내 출시 여부는 아직까지 미정인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