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어느 나라와도 비교 불가”… ’13년 연속 1위’ 대한민국의 압도적 기록에 전 세계 ‘참패’

13년 연속 1위, 전례 없는 기록
글로벌 경쟁국 압도한 한국의 혁신 지수
대한민국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 1위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대한민국이 세계 주요 국가들 가운데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다시 한 번 공식 인정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발표한 ‘2025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EIS)’에서 한국이 152.2점을 기록해 32개국 가운데 1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한국은 2013년부터 13년 연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올해도 캐나다(133.4점), 중국(133.4점), 미국, 호주 등 주요 경쟁국들을 큰 격차로 제쳤다. 유럽연합 평균은 112.6점이다.

기업 주도 R&D와 지식재산이 주도한 성과

대한민국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 1위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평가에서 한국은 상표·디자인 출원, 기업 연구개발 투자 등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전체 32개 세부 지표 중 11개 항목에서 EU 평균을 상회했다.

R&D 분야에서는 기업의 비중이 특히 높았으며, 이는 기술 개발뿐 아니라 실제 사업화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어져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올해 혁신 점수는 전년보다 6.3%포인트 상승했으며, 이는 전체 평가 대상 국가 중 가장 큰 폭의 개선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R&D 투자에서 기업의 비중이 매우 크고, 지식재산권 확보 역시 전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이러한 구조가 장기적인 혁신 성과로 연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기술 산업에서의 위상 확대

대한민국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 1위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은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력도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AI, 스마트 제조, 전기차 배터리, 스마트시티, 재생에너지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주요 기업들이 혁신 제품을 내놓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CES, 월드스마트시티엑스포 등 국제 행사에서 한국 기업들은 기술 혁신상을 수상하며, 해당 기술이 외국 정부와 기업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업 혁신에 있어서는 단순 기술 개발을 넘어 실제 시장에 적용 가능한 사업화를 중심으로 전략을 짜고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국과 차별화된 평가를 받고 있다.

지식재산권 보호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올해 국제 지식재산 지수 종합 10위권에 들었으며, 이는 해외 기업들의 투자와 기술 협력 유치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일부 분야 보완 필요… 정부도 개선 의지 밝혀

대한민국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 1위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다만 전 분야에서 고르게 점수를 받은 것은 아닌데, 중소기업의 제품·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 도입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대해 정부는 “중소기업이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 제도를 확대하겠다”며, 관련 정책 보완에 나설 뜻을 밝혔다.

또한 일부 환경 관련 지표, 특히 산업 미세먼지 배출 부문에서도 낮은 점수를 기록해, 기술 혁신과 함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상황이다.

혁신이 단지 기술 경쟁력에 머무르지 않고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객관적 수치로 확인된 ‘1위’… 과제는 지속 가능성

대한민국
유럽 혁신 스코어보드 1위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은 2025년 혁신 성과에서 수치상 압도적인 결과를 보여줬다.

13년 연속 1위라는 기록은 단순한 상징이 아니라, 지속적인 혁신 투자와 구조적인 성과 관리가 뒷받침됐기에 가능한 일이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이 같은 추세를 유지하고, 취약한 부문에 대한 전략적 보완이 이뤄진다면 한국의 기술 경쟁력은 앞으로도 세계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함께 보면 좋은 글

Toyota 2026 Sequoia Revealed

아빠들 환장하는 대형 SUV “역시 세계 1위 토요타?”…디자인, 성능, 가격정보까지

더보기
Renault Group Sales Soar

그랑 콜레오스로 판 뒤집더니 “전기차·하이브리드 급성장”…결국 유럽까지 평정한 르노 그룹

더보기
tariff

“이러고 있다가는 다 죽어요”… 삼성·현대차·한화 똘똘 뭉쳐 달려간 ‘이곳’, 과연 어디길래

더보기
China BYD Enterprise Crisis

“부채 120조 원에 딜러 잇따른 폐업”…BYD 복합 위기에 ‘제2의 헝다 사태 우려’

더보기
bank

지금까지 못 받은 대출금 “그냥 안 받을게요”… 은행이 내린 믿기 힘든 결정에 ‘발칵’

더보기
Hyundai Parts US Localization

“美 관세에 현지화 추진하는 현대차”…국내 車 부품 업계는 줄 도산 위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