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V 시장 공략하는 기아 PV5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첫 적용
레고 블록처럼 조립하는 차체

기아가 모듈형 차체 기술을 앞세워 PBV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차세대 바디 기술인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을 최초로 적용한 중형 PBV 모델 ‘더 기아 PV5’를 공개하고 관련 생산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는 것이다.
모듈형 설계로 ‘변신’이 자유로운 PV5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은 차체, 도어, 테일게이트 등 주요 부품을 마치 레고처럼 조립하는 개념이다. 이 기술을 통해 기아는 차량의 주요 부품을 모듈화해 설계 유연성과 생산 효율성은 물론, 구조 안정성과 유지보수 편의성까지 확보했다.
특히 기아 PV5는 전면부와 1열을 공용으로 설계하고, 2열부터 후면부까지는 모듈 형태로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기반으로 ▲패신저(롱) ▲카고 컴팩트(3·4도어) ▲카고 롱(3·4도어) ▲카고 하이루프(3·4도어) 등 총 7종의 기본 바디가 개발됐으며, 최대 16종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카고 롱 모델에 ‘롱바디 모듈’을 추가하고 부품 몇 개만 교체하면 패신저 모델로 전환이 가능한 식이다. 기아 측은 “변화하는 고객 니즈와 비즈니스 환경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생산·정비 효율성 모두 잡았다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개선이 두드러진다. 후측면 가니쉬를 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작하고 이를 3개 부품으로 나눠, 사고나 파손 시 손상 부위만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여기에 구조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외골격 환형 구조’와 ‘듀얼 환형 구조’도 도입됐으며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NVH 성능도 함께 향상됐다는 것이 기아의 설명이다.
생산 효율성도 함께 끌어올렸다. 2열 도어와 쿼터 글라스 유무에 따라 차체 패널을 단 2종의 금형으로 통합해, 다양한 바디 형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로 인해 개발과 생산 비용 모두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실내도 ‘맞춤형’…2027년엔 대형 PBV도

실내 역시 모듈 방식으로 고객 맞춤형 구성이 가능하다. 트렁크 공간에는 총 7종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이 제공되며, ‘애드기어’나 ‘L-Track 마운팅’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용품 장착도 지원된다.
기아 MSV바디설계1실 이영호 상무는 “모듈 조립 방식이 기존 차량 개발의 한계를 뛰어넘는 전환점을 만들었다”며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비즈니스 요구에 딱 맞는 차량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아는 이번 달부터 PV5 패신저 5인승과 카고 롱 모델의 양산을 시작하고, 향후 다양한 모델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며 오는 2027년에는 대형급 PBV를 출시해 라인업을 더욱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다 좋은데 좋은국산 밧데리 놔두고 중국 밧데리사용하는게 좀 걱정되니다.ㅠㅠ
7월 말 생산직 휴가기간이고 기존 양산예정 15일16일도 연기라는데 이달 말? 생산? 8월 초 까지 생산직 휴가인데? 기사 쓰기 쉽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