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2주 후면 완전히 끝난다”… 139조 쏟아부어도 아슬아슬한 상황, 이대로 무너지나

미국, 8월 중순 반도체 관세 발표
한국 반도체 업계 “전면전 수준” 경계
삼성
반도체 관세 발표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의 반도체 수입 관세 발표를 2주 앞두고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다.

정부와 기업은 총 139조 원에 달하는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마련해 관세를 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적용 대상과 세율이 확정되지 않아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8월 중순쯤 반도체 관세 부과 여부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미국 수출 물량 대부분이 관세 적용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다양한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미국發 관세 폭풍… 다음은 반도체

삼성
반도체 관세 발표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지난 27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반도체 관세와 관련해 “2주 안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 조치로, 수입 반도체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근거다.

이미 자동차 산업은 지난 4월부터 25%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대차·기아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 가까이 줄었다.

반도체 역시 유사한 전개로 흘러갈 경우, 업계에 미칠 파장은 작지 않을 전망이다.

이번 조치의 대상은 메모리 반도체(DRAM, NAND)뿐 아니라,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 기판, 웨이퍼, 제조 장비 등 거의 전 품목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AI 공급망 핵심인데도”… 한국 반도체, 왜 위기인가

삼성
반도체 관세 발표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각각 세계 1~2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2025년 2분기 기준 DRAM 시장에서 36%, HBM 시장에서는 5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했다. 삼성전자는 DRAM 34%, HBM 24%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두 회사 모두 미국 주요 기업에 공급하는 메모리 제품을 대부분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구조다.

텍사스 공장(삼성), 인디애나주 패키징 기지(SK하이닉스) 등 현지 투자도 진행 중이지만, 핵심 공정은 국내에 있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가 부과될 경우 원가 상승은 피할 수 없고, 고객사와 가격 재조정 논의가 불가피하다”며 “시장 경쟁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139조 투자 계획, 관세 협상 지렛대 될까

삼성
American and South Korean flag standing on the table with defocused background

한국 정부는 최근 삼성, SK, 현대차, LG, 한화 등 10대 그룹과 협의해 1천억 달러(약 139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마련했다.

이는 미국 정부에 제안될 예정으로,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협상 카드로 활용된다.

일본은 유사한 방식으로 757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제시해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춘 사례가 있다. 한국 역시 조선 분야 협력, 반도체 투자 확대 등을 포함한 ‘맞춤형 제안’을 준비 중이다.

그러나 통상협상이 공식화되기 전까지는 관세 부과 시기와 세부 기준이 불투명하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기업들의 투자 계획을 추가로 취합하고 있으며, 금융기관의 협조를 통해 투자 펀드 조성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관세 현실화되면 가격 경쟁력 타격 불가피

삼성
반도체 관세 발표 /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현재 반도체는 대체 공급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미국이 고율 관세를 실제로 부과할 가능성은 낮다는 기대도 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미국 기업도 반도체를 비싸게 사게 되므로 자국 피해도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관세가 실제 적용될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체제’를 유지 중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 정부에 우려를 전달하고 있으며, 고객사와의 공급 계약에도 대비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관세율과 적용 품목은 8월 중순 발표될 예정이다. 업계는 이 발표 결과에 따라 국내 반도체 산업 전체가 중대한 전환점을 맞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투자만으로 충격을 완전히 상쇄할 수 없다는 점에서, 향후 대응 전략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2

  1. 포퓰리즘 + 15 만원내고 45만원 토해내고 !! 퇴짐금은 이료 줄아닌.. 연금받고 !! 중국 🇨🇳 대한민국 기업먹음…
    자국민은 DSR 규제.. 외국인 특히 중국은 무제한 대출
    노란봉투법 + 양곡법 인해… 대한민국 🇰🇷 기업탈출!!!

함께 보면 좋은 글

Porsche AI Simulation Test

“극한의 환경에서 차량 한계까지 시험”…연내 공개 예정인 포르쉐 카이엔 일렉트릭

더보기
Volvo ES90 Coming Soon

“한 번에 647km 주행 가능한 볼보 ES90″…디자인부터 성능·출시 일정까지

더보기
Bugatti Brouillard Revealed

“부가티 신형 W16 하이퍼카 브루야르”…성능·품질·디자인까지 절대 타협 없어

더보기
Hyundai Kia Chuseok FreeInspection

“추석 연휴 장거리 운행 전 필수”…현대차·기아, 추석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더보기
Rumors of Benz BMW Engine Sharing

BMW와 엔진 공유? “말도 안 되는 소리”…메르세데스-벤츠, 새로운 모듈형 엔진 개발

더보기
BYD Atto3 Accumulated Sales

안 팔린다더니 “예상 밖의 결과”…BYD 아토3, 판매량 살펴보니 ‘이럴 수가’

더보기